추상화된 산(山) 모습을 꽤 닮은 문양이 있다.
이 연구원에게 물어보니 그가 연구했던 조선 자기 중에 제작자의 이름이 남아 있는 경우는 한 번도 없었다고 대답했다.현대미술 뺨치는 창의적 작품 빼어난 작가들 익명 속에 묻혀 상공업 경시한 주자학의 폐해 예술을 국부로 연결하지 못해 일본엔 이름 남긴 조선 도공들 일본 근대화의 밑거름 되기도 리움미술관 백자전 ‘군자지향 화제 전시를 기획한 리움미술관 이준광 책임연구원은 군자는 곤궁 속에서도 굳세다는 공자의 말을 인용했다.
전위미술을 연상시킬 만큼 창의적 작품도 많다.백자청화철화 삼산뇌문 산뢰(의례용기).조선의 도자기와 채색 백자는 이미 15세기에 유명했고.
조선은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백자를 생산할 수 있었으면서도 수출할 생각을 하지 못했고 도공을 대우해 이름을 남겨줄 생각도 하지 않았다.김환기의 1950년대 말~60년대 초 그림에 등장하는.
군자지향 기획전에서 ‘철화·동화백자 섹션을 둘러볼 때 들려온 소리다.
실제로 ‘백자철화 어문병(사진 1)에 그려진 발 달린(!) 물고기는 독일 화가 파울 클레의 그림 같다.일본이 조선을 끔찍하게 파괴한 전쟁이 끝났을 때.
17세기 철화·동화백자는 조선이 왜란과 호란을 연이어 겪은 후 청화 안료를 구하기 힘들어졌을 때 나타난 것이다.조선 도공들은 뛰어난 기술과 예술성을 지니고도 익명의 존재로 머물렀다.
조선인들은 수백 년 동안 그 자리에 머물러 있다.조선은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백자를 생산할 수 있었으면서도 수출할 생각을 하지 못했고 도공을 대우해 이름을 남겨줄 생각도 하지 않았다.
Copyright © Powered by | 세종의소리|마이증권 내 포트폴리오 관리 | sitemap